top of page
Insubong 18102, 107x160cm, Archival Pigm

An Artistic Soul and A Project named ‘Insubong’


Yoon Beommo  Art critic, Chair professor of Dongguk University

 

Insubong. Insubong is the landmark in Seoul. Almost most of the people living in Seoul may feel puzzled if somebody says so. Then what is supposed to be the symbol of Seoul? Haechi*? Haechi is currently promoted as the symbol of Seoul city. It’s ridiculous and should be reconsidered. Haechi is the mythical beast with a single horn as the role of the judge. How about Insubong in Bukhansan Insubong(the altitude of 810 meters) is one of two highest peaks together with Baegundae which is also in Bukhansan. That huge rock is awesome and is impossible to be climbed by the public. The towering peak into the sky. It’s overwhelming. The rock’s been surrounding and hugging Seoul as ‘the Great Stone Face’ since the old times. There is an artist insisting that Insubong is the landmark in Seoul. Lim Chae Wook.

There is no other cities like Seoul. That means Seoul is surrounded by Hangang, the big river and Bukhansan, the big mountain. Think about the biggest cities in the world. New York, Washington D.C, Beijing, Tokyo, Paris, London, Berlin, Rome to name a few. No other cities have a big river & a big mountin like Seoul. Seoul is blessed with such nature. Unfortunately the people in Seoul seem not to know what they’ve been living with. That’s why Haechi can appears as the symbol of the city. The blessing of nature in Seoul can be towered in Insubong. Insubong is the pride and the treasure of Seoul. Insubong can be viewed as an eagle, a buddhist worshipping with the joined hands, an image of Buddha, and a horse head by the different angles. The towering peak varies its looking as time, weather, and season go by. It looks like Patagonia just after the sundown in the fine day of the summer.

Lim Chae Wook is obsessed with Insubong and behaves as if the ambassador for the peak. He held the big exhibition about Seoraksan in 2016, and comes back with Insubong this year. Insubong is the starting point in his career and home in his heart. Lim Chae Wook has the interesting career as an artist. He’s been sailing through the world of the paintings, photography, and the mountains. He painted Insubong with Black & White water touch as studying of his young days at the university, photographed Insubong with the mountaineers as the new and deep interpretation never tried before. The project ‘Insubong’ was born in the basis of such years of the study and collaboration. He didn’t appreciate the exterior view but the inner side of Insubong so as to interpret and create his unique world of Insubong.
Let’s take a look at the Chouinard’s route in Insubong. Yvon Chouinard, the young US army pioneered the new climbing route of Insubong in 1963. It was very stiff climbing course that couldn’t be tried without the climbing gears. He developed the climbing gears after going back to America and eventually founded ‘Patagoina’, the outdoor apparel company famous for inventing & recycling a lot of the environmental friendly gears and contributing environment movement. Lim Chae Wook became interested in Yvon Chouinard and Patagonia in the study of the peak, and Yvon Chouinard became his mentor.
It’s been 30 years old since Lim Chae Wook met Insubong for the first time. He encountered the peak as an young soldier in the army. He saw in the bus but never approached it while coming and going between his home in Seoul and the army camp in DMZ. He began to paint it in the university after retired from the army. Then it’s been more than 10 years since he began to photographed it after wondering here and there. Therefore it’s not that exaggerating to say he grew up with Insubong. The peak came to him as ‘the Great Stone Face’. Lim Chae Wook put his photographic works for Insubong into three categories ; ‘The Portraits’, ‘The People’, ‘Insubong & Seoul’

‘The Portraits’: Insubong is ‘the Great Stone Face’ for Lim Chae Wook. He’s photographed Insubong’s four seasons by surrounding of 360°. Insubong shows different looking at different times and seasons. The variety of Insubong’s been captured by his lens. ‘The People’: Insubong is like a home for Korean climbers. It can be said that thanks to Insubong, there are many internationally known Korean mountaineers. The soaring peak with easy accessibility nearby Seoul is the best training camp for Korean climbers. There are 89 climbing routes in Insubong. Several hundreds of the climbers enjoy rock-climbing in Insubong every weekend. Lim Chae Wook’s been capturing them in the camera. It’s the result of digging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 The very unique landscape in the city which can be seen in no other cities. ‘Insubong & Seoul’: It’s the part to show Insubong by different angles and distances. It’s to express the peak not only by the compass direction but also by the seasons, day & night, and the weathers. What so special is that Insubong can be seen even in the heart of the city. That means Insubong can be the landmark in Seoul. Insubong in the starry night, specially the peak shown in between the apartments is magnificent. Insubong viewed from the bus stop at Suyu subway station looks even bigger. The great mountain which can be seen from the main roads of the city is very rare in any other cities of the world. Insubong on the water was found by the artist and captured in his lens. Insubong fully appears on the water only with the very limited space and distance. It’s at Uicheon, 8Km away from Insubong.
At the stream in which children play and fish, We can see Insubong on the water. Insubong on the water surrounded by the apartment town in the starry night is another face of the great stone. It’s the rare landscape to be seen in any other part of the world. Insubong is asking us for the new study and approach.

Insubong appears as the face different from what we’re used to. There’re more than enough photographers everywhere. Too many photographers’re working for nature -specially mountainsin the world. However Lim Chae Wook has very unique formativeness. He tries to endue the object with identity in the basis of humanities. He uses interesting materials for such a purpose. It’s the breakthrough he prints the images with Hanji, Korean traditional paper even though we consider that extending & using new materials are one of the phenomenons in the contemporary art world. Hanji’s flexibility is even used for his 3D works. Hanji’s superiority and speciality is already well known throughout the world. Lim Chae Wook who studied Korean traditional painting knows very well about the specific characters of Hanji. His spreading effects of with Black & White water touch is the result of using one of Hanji’s specific characters. Lim Chae Wook shows the effects of Black & White water touch can be used in photography. His photographic works developed with black & white in Hanji express such effects at the best.
Hanji is the very flexible paper. Hanji’s specific characters are represented in durability, elasticity, and lasting. Hanji is paper which can be crumpled with those characters. Lim Chae Wook prints his work in Hanji instead of the photographic paper. Then he crumples and transforms them into the 3D works. That’s the process of paper crumpling. In addition, he uses the special lighting for his 3D works. The smart illumination is inside of the 3D works. The penetration and distortion of illumination through the 3D works made of Hanji makes some kind of the unexpectable special effects. A smart app for illumination can be used too. Lighting in the 3D works varies as by magic with the people’s voice or music. This is a move to the new stage of Hanji in art. This is the extension of the expressive form and the development of the media.

Insubong and Lim Chae Wook’s photographic work. It’s the result of the artistic soul and the attitude of the humanities’ background. In other words, he takes images different from many other photographers who take no more than the exterior of the mountains. ‘Tourism landscape painting’ is the negative expression to accuse of painting a landscape without the deep thought and observation. It’s very hard to result good works without going into inside of the object. Lim Chae Wook is the artist trying hard to meet the inner face of the object in the basis of humanities. Therefore he can obtain the different view from others and create his own expressive forms and contents. The Project ‘Insubong’ is one more added achievement of his artistic soul. Insubong comes to us with the fresh and different face with his works. It’s confirmed that Insubong can be recommended as the landmark in Seoul throughout his works.

--------------------------------------------------------------------------------------------------------------------------------------------------------------

임채욱의 작가정신과 인수봉 프로젝트


윤범모 미술평론가, 동국대 석좌교수

 

인수봉. 인수봉은 서울의 랜드마크이다. 이런 주장을 한다면, 대부분의 서울시민들은 의아해할 것이다. 그렇다면 서울시의 상징은 무엇이어야 할까? 현재 서울시 상징은 해치라고 선전되고 있다. 해치? 이는 재검토를 요구하는 부실 덩어리이다. 해치는 판관(判官)의 역할을 하는 일각수(一角獸)이다. 사자도 아니고, 해태도 아닌, 해치를 서울시의 상징으로 삼은 정책은 희극이다. 그럼 무엇을 서울시의 상징으로 삼아야 할까? 지금부터라도 본격적으로 다시 논의해야 할 부분이다. 서울시의 상징. 예컨대 북한산 자락의 인수봉은 어떨까? 인수봉은 백운대와 더불어 서울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해발 810m). 온통 바위 덩어리로 이루어져 일반인은 쉽게 오를 수 없는 외경의 대상 그 자체이다. 우뚝 솟은 산, 우람하다. 그 멋진 자태는 말로 설명하기 어려울 정도이다. 인수봉. 서울 시내 고층 빌딩 사이에서도 볼수 있는 산, 우람한 산. 그 바위산은 마치 ‘큰 바위 얼굴’처럼 오늘도 서울시를 감싸 안아주고 있다. 그런 인수봉을 서울시의 랜드마크로 지정하자는 작가가 있다. 임채욱이다.

세계의 어떤 대도시를 가보아도 서울과 같은 자연환경을 지니고 있는 도시는 없다. 한강이라는 거대한 강과 북한산과 같은 거대한 산을 지니고 있는 도시가 없기 때문이다. 뉴욕, 워싱턴, 베이징, 도쿄, 파리, 런던, 베를린, 로마… 그 어떤 도시도 서울과 같은 강과 산을 지니고 있지 않다. 그래서 서울은 복받은 도시이다. 아니 서울 시민은 축복받은 시민이다. 문제는 시민 스스로가 그런 사실을 모른다는 것이다. 아무런 맥락도 없는 해치 같은 것으로 서울시의 상징을 삼는 행태만 보아도 이 점을 알 수 있다. 자연환경의 축복, 바로 인수봉으로 축약할 수 있다. 인수봉은 서울의 자존심이자 보배이다. 인수봉은 보는 각도에 따라 독수리, 합장한 불자, 불상, 말 머리 등으로 보인다. 우뚝 솟은 바위산이지만 보는 시각에 따라 모습을 달리한다. 날 저문 뒤의 야경은 파타고니아와 흡사하다.

임채욱 작가는 ‘인수봉 전도사’라고 불러도 부족하지 않을 만큼 인수봉에 꽂혀 있다. 얼마 전 설악산을 주제로 하여 대형 전시를 개최하더니, 이제 인수봉을 들고 미술계에 나타났다. 그에게 인수봉은 작가생활의 출발이면서 고향이기도 하다. 임채욱은 미술계, 사진계, 산악계를 두루 섭렵한 이색 경험을 갖고 있다. 그는 이른바 동양화 수학시절 인수봉을 소재로 한 수묵작업을 한 바 있고, 사진작업을 통하여 인수봉을 재해석하고자 했고, 더불어 산악인들과 함께 인수봉을 깊이 탐구했다. 이런 바탕에서 이번 ‘인수봉 프로젝트’가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니까 관광객처럼 인수봉의 외피만 그리려 한 것이 아니라, 그는 인수봉 내부로 들어가 인수봉의 내밀한 언어를 독해했고, 그 결과를 자신만의 작품에 담을 수 있었다. 이는 인수봉의 새로운 등반 루트 즉 취나드길의 경우만 보아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이본 취나드(Yvon Chouinard)는 주한미군으로 근무하던 1963년, 인수봉에서 새로운 길을 개척했다. 물론 그곳은 장비 없이 올라갈 수 없는 수직의 암벽이었다. 취나드는 국제적으로 명성 높은 아웃도어 의류회사인 파타고니아의 창업자이다. 그는 암벽등반용 각종 장비를 개발했고 친환경 제품의 생산과 환경운동을 전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해왔다. 임채욱은 인수봉을 연구하면서 취나드라는 인물을 알게 되었고, 결국 취나드는 임채욱의 멘토가 되었다.
임채욱과 인수봉의 관계, 이제 30년을 바라보게 되었다. 임채욱은 군대시절, 수유리에서 철원행 버스를 타면서 인수봉을 처음으로 마주할 수 있었다. 가슴으로만 본 3년의 인수봉이었다. 그 후 미대를 다니면서 3년간 인수봉을 화면에 담기 시작했다. 이어 방황시기를 거친 다음 인수봉을 주인공으로 하여 사진작업을 시작한 지 10여 년의 세월이 흘러갔다. 그러니까 임채욱 인생의 절반은 인수봉과 함께 했다 해도 과언은 아닐 것 같다. 그에게 인수봉은 ‘큰 바위 얼굴’로 작업의 고향이었다. 임채욱은 인수봉을 사진작업에 담으면서 크게 3가지 영역으로 정리했다. 즉 ‘인수봉의 초상’, ‘인수봉과 사람’, ‘인수봉과 서울’이다. 인수봉의 본질을 시각에 따라 달리 해석해본 것이다.

‘인수봉의 초상.’ 임채욱에게 인수봉은 ‘큰 바위 얼굴’처럼 외경의 대상이었다. 작가는 인수봉의 사계를 360도로 돌면서 촬영했다. 인수봉은 계절에 따라, 조석의 햇볕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런 다면적 인수봉의 모습을 렌즈에 담았다.
‘인수봉과 사람.’ 인수봉은 산악인에게 고향과도 같은 곳이다. 한국 출신의 국제적 산악인이 많은 것이 인수봉 덕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수도 근교에 우뚝 솟은 인수봉은 록 클라이밍 훈련장으로 훌륭했기 때문이다. 현재 인수봉에 오르는 바윗길은 89개로 알려져 있다. 지금도 주말만 되면 수십 명, 때로는 백여 명의 클라이머들이 암벽등반을 즐기는 것을 볼 수 있다. 임채욱은 그들을 주인공으로 하여 카메라에 담았다. 자연과 인간, 그 관계를 천착한 결과이다. 도시 근교의 이색풍경이다.
‘인수봉과 서울.’ 보는 각도에 따라 달리 보이는 인수봉의 모습을 표현한 부분이다. 방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는 산의 모습은 그렇다 치더라도, 계절이나 조석 혹은 날씨에 따라 분위기를 달리하는 산의 모습을 담았다. 특기 사항은 도심에서도 인수봉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점이다. 인수봉을 서울시의 랜드마크로 삼기에 부족함이 없다는 의미이다. 별이 빛나는 야경 속의 인수봉, 특히 도심의 아파트사이로 보이는 인수봉은 장관을 이룬다. 수유역 버스정류장에서 보이는 인수봉은 더욱 크게 보인다.
대로의 횡단보도에서 보이는 커다란 산, 이는 세계적으로 드문 현상이다. 임채욱은 수면 위에 비치는 인수봉을 발견하고 렌즈에 담았다. 호수가 너무 가까워도, 혹은 너무 멀어도, 산의 전체 모습은 수면 위에 비치지 않는다. 인수봉의 경우, 8킬로미터 떨어진 우이천에서 반영이 생긴다. 아이들이 물고기를 잡는 개울에서 인수봉의 모습을 볼 수 있다! 물속에 비친 인수봉의 모습, 그 뒤에 아파트촌이 배경처럼 서 있고, 밤하늘에는 별도 축복처럼 빛나고 있고, 인수봉의 또 다른 면모이다. 세계의 어떤 곳에서도 보기 어려운 풍경, 인수봉은 새로운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인수봉은 임채욱의 사진작업 속에서 새로운 모습을 나타냈다. 하기야 사진작가는 많고도 많다. 자연, 특히 산을 소재로 하여 촬영 작업을 하는 사진가는 너무나 많다. 하지만 임채욱은 미대 출신답게 남다른 조형성을 챙기고 있다. 대상을 해석하는 시각이 인문학적 바탕 위에서 독자성을 부여하고자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시각에서 그는 이색 재료를 활용하고 있다. 재료의 새로운 확장은 현대미술의 특징 가운데 하나이기는 하지만 한지를 사진작업에 끌고 들어온 것은 획기적인 사태이다. 그것도 한지의 신축성을 활용하여 입체적으로 사진작업을 했다는 점이다. 전통한지의 우수성은 이미 세계적으로도 잘 알려진 사실이다. 지필묵의 전통을 수학한 임채욱은 한지의 성질을 잘 파악했다. 수묵의 번지기 효과는 한지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이다. 임채욱은 수묵화의 효과를 사진으로도 대체할 수 있었다. 흑백으로 인화한 한지 사진작품은 수묵화 분위기를 잘 보여주었다.
한지는 신축성이 좋은 질감의 종이이다. 질기고 유연함은 한지의 특징이다. 구길 수 있는 종이, 그 특성을 살려 임채욱은 인화지 대신 한지에 사진작업을 했다. 여기서 한걸음 더 나가 작가는 한지를 구겨 입체적 표현을 시도했다. 산을 촬영한 사진작품이지만, 산의 괴량감을 한지 구김 기법으로 입체감을 부여했다. 여기서 임채욱은 입체 사진작업에 특수한 조명을 활용했다. 즉 한지사진을 입체적으로 만들어 내부에 스마트 조명을 두었다. 그 효과는 한지의 투과성 때문에 조명효과가 독특하게 되었다.
스마트 폰 전용 앱을 설치하면 관객 참여의 효과도 낼 수 있다. 즉 스마트 조명 작품이다. 관객의 목소리에 따라 즉 음파에 따라 조명이 반응하기 때문이다. 이는 한지 작업의 새로운 시도이다. 질기고 유연한 한지를 이용한 입체사진 작업. 이는 표현 형식의 확장이고 매체의 개발이기도 하다.

임채욱의 사진작업과 인수봉. 이는 치열한 작가정신의 소산이기도 하지만 작가의 인문학적 배경을 중시하는 태도와도 연결된다. 달리 표현한다면, 산의 겉모습만 촬영하는 일반 사진가와 차원을 달리 한다는 의미이다. ‘관광 산수’라는 부정적 표현, 즉 관광객처럼 산의 겉모습만 슬쩍 보고 그린 산수화를 비판하는 말이다. 대상의 본질로 들어가기보다 피상적 접근, 이는 무게 있는 작품과 연결되기 어렵다. 임채욱은 인문학적 바탕을 중요하게 여기면서, 대상의 본질과 만나고자 고심하는 작가이다. 그래서 남다른 시각을 얻을 수 있었고, 또 그와 같은 결과는 자신만의 표현형식과 내용을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임채욱의 인수봉 프로젝트는 작가정신의 다른 표현이라고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인수봉이 자아내는 의미는 새롭다. 서울시 상징으로 추천해도 부족함이 없을 듯한 내역을 사진작업에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이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