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The landscape drawn by the camera

 

Young Taek Park (Professor, Kyonggi University, Art Critic)

 


The nature of Korea spreaded wide with the mountain as the center. The mountain is the backbone and frame of national land. Accordingly the mountain is not the simple physical scenery and landscape to the Koreans from the old time. It is mystical, miraculous and noble subject and the existence of deity. Therefore, the mountain is the fundamental space of matrix and the basic aesthetic space to the Koreans. The history of life looking at the mountain back and forth living with the climbing the mountain is embroidering on the life of Koreans. The Koreans yearn for and intend to resemble the nature/mountain keeping the consecutive mountains spreading out so in mind, pondering over the nature, surrendering themselves to the beauty made by the nature. Therefore, the true image of man of honor in the Orient can be found in the mountain. The people anxious to be the mountain is Koreans.

 

The Koreans renounce the world and enter into the mountain frequently, are covered with the mysterious energy and repeat the lives returning again to the world and the Koreans internalized the virtue borne by the deep and lengthy mountain on the one hand and reflected on limited life of coarse human to the full extent. It has been filled with and inherited to the poem of landscape and landscape painting completely The admiration and appreciation for one viewing stone splitted from the mountain in such a context functions. Therefore, the shamanistic pray for the mountain and its reduced stone and the adoration for the sacred energy are still not stopped. Even now, Korean writers draw a lot of painting of many mountain alone and making a present of endless affection for the mountains.


The photographs of mountain by Chae Wook LIM at a glance creates an illusion to look at the reproduced picture as the Oriental painting. It is a landscape painting “drawn” by the camera. The typical shape of mountain connected and linked endlessly in the long stretched composition of panorama in line abreast is filled. We look alternately from the right to the left, from the left to the right with the repeated eyes. The typical structure of oriental painting landscape showing the imaginary movement and appreciation for something lying in the bed is conceived. This is the scene that the part of mountain covered and erased with most of fog and cloud, is appeared dimly. The strong silhouette is appeared by removing the outline of mountain as a result, the inside of mountain is actually removed by the fog like breath. The blank space in the typical oriental painting is the strategy to show the part of scenery full of thick cloud and mist, fog. The remaining depends on the imagination. Rather than showing the whole, the part covered, the remaining of blank are absorbed in the empty screen. The people can not look at the painting wholly, with the whole mind of eyes. It is rather to show less than more, rather to show part than all. They understand that to let them imagine than to show them is the better way to show the subject. That is to let them dream, remember and select the object and subject inside the retrospection and suggestion. It lets them imagine and perceive something through the various sensory organs in the body, except for retina, and the spiritual energy by assuaging the visual desire to look at all with the retina on purpose. The thing that lets the people conceive the actual world by simulating the spiritual energy and that attracts the body and soul to the world over the painting was none other than the landscape. The imaginative action of the observer is raised and the painting is completed in their imagination for the first time. It is to let them taste the experience (the spiritual energy) taking a stroll in the real nature by looking the landscape. If it is the landscape that the observer is positively attracted and takes part in and his imaginative power and the sublimination are encouraged, the photographs of Chae Wook LIM as well is so called such photographs as to encourage positively to look from the heart such as imagination.


The mixed color with thick blue and black as the close-range view is moved to the later view is thinned gradually. No, the mountains in this photographs are hard to be returned to a specific color. This color is not directed and dramatized by the intention of photographer, is but captured by the real record at that instant and at that place. It looks like black embracing all the colors in nature or the colors hard to describe by language spreads severely. It is deep, far and cool. The photographer told that he intended to capture the shape/color incapable of looking by the eye of camera. No, such a color shall come into view naturally. Does the heart encounter eventually the color not by the retina? This photographs of mountain framed by the innate learned heart as the Korean eventually rubbed thick with the Korean emotion. The scenery of mountain looks like to be disappeared shortly, looks like to be recovered.

 

The mountain becomes the alive life and billows. The atmosphere breathing and the energy repeatedly billows and scattered are covering and getting around the mountain. The main parts comprise Mountain Seorak, Mountain Deogyu and Mountain Jiri. So-called these are representative mountains of Baekdu big mountain range. The photographer told and realized suddenly that the root of our national emotion has been originated from the mountains by walking along the ridges of those mountains several times, and realized the fact that the blood vessel of Korean race is flowing the winding mountaintops and ridges hotly. Accordingly, the photographer has a worry, how to capture this mountain permeated with the emotion of our race bodily through the media of photograph. He discovered that the first step of his trouble resided already in the typical landscape. The landscapes drawn by foregoer also do not reach the reappearance of scenery overlooking on the eyes only, the mechanical imitation for Chinese landscape or the iconography in accordance with the Confucian ideology only. The emotion and the aesthetic sense of our race filled in the mountains of Korean Peninsula and natural scenery have been filled completely in the landscapes drawn by Danwon, KIM Hong Do and Kyemjae, JUNG Sun . The photographer majoring in Oriental Painting during the University Days takes a photograph of landscaped mountain through the camera again, on the one hand the landscape by foregoers shall be reincarnated, and intends to call out the emotion and esthetic sense germinated from the mountain as the life base and space to the photographic paper.


The photographer took a photographs mainly around the dawn. He, at the moment of standing in the strange boundary, filled the overlooked mountain captured at the very same time zone in the thick time zone where the balance of power, yin and yang energy are interlocked tightly in the earth and the sky. The mountains filled in the angle of view of camera of his own making are shaking between the photographic image and picture. The bulk of mountain flooded in the thick tone of color and the empty sky looking like the blank, the cloud and mist removing and crushing the shape of mountain by entering into the gap between mountains are really spreading out like picture. The feeling that the taste of landscape of indian ink is reappeared, on the one hand, the attempt saying the charm of our mountains are seen vividly with the eye line of mechanical camera are approaching us.

 

The important thing in the Oriental Painting was not the reappearance of physical phenomenon but “the experience of phenomenon” It is not the simple reappearance but the spiritual reappearance. It is not to contemplate the object by the eyes but to contemplate the object by the mind’s eye so-called. To perceive the actual world by stimulating the spiritual energy and to attract the body and soul to the world over the pictures, this was the landscape. The photographs of Chae Wook LIM also revived in such a context. His photographs is the landscape of indian ink as it is. But it is the image of photographs if we take a close look. However, in the cool and great perspective, the blank, the color of single color, the stretched physical aspect of a mountain stimulating the sublime beauty, and in the screen stretched in lengthwise and breadthwise, etc. the experience to look the realistic landscape are surrounded. We fathom again our land, the identity of mountain, the tradition of esthetic culture formed by the space.

-------------------------------------------------------------------------------------------------------------------------------------------------

 

카메라로 그린 산수화

 

박영택(경기대교수, 미술평론)


한국의 자연은 산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다. 산이 국토의 척추이자 뼈대이다. 그래서 예부터 한국들에게 산은 단순한 물리적 경관이자 풍경에 머물지 않는다. 그것은 신령스럽고 영험하며 숭고한 대상이자 신적 존재였다. 따라서 산은 한국인들에게 근원적인 모태 공간이자 원초적인 심미적 공간이었다. 앞뒤로 가득한 산을 바라보고 그 산을 산행하며 살았던 생의 역사가 한국인의 삶을 수놓고 있다. 그렇게 펼쳐진 연이은 산을 눈에 가득 담아가며 자연에 대해 숙고하고 자연이 만든 아름다움에 투항하며 그 자연/산을 동경하고 닮고자 했다. 그래서 동양에서 진정한 군자의 모습은 산에서 찾아진다. 아예 산이 되고자 열망했던 이들이 한국인이다. 속세를 등지고 수시로 산에 들어가 그 신묘한 기운을 뒤집어쓰고 다시 환속하는 삶을 반복하는 것이고 깊고 유장한 산이 품고 있는 덕목을 내재화하는 한편 유한한 인간의 속악한 생을 마냥 반성해왔던 것이다. 그것이 산수시(山水詩)와 산수화 속에 오롯이 담겨 전해온다. 산이 쪼개진 하나의 수석에 대한 예찬과 완상(玩賞)도 그런 맥락에서 기능한다. 그래서 산과 그 것이 축소된 돌에 대한 주술적인 기원과 신성한 기운에 대한 흠모는 여전히 그치지 않는다. 지금도 한국작가들은 유독 산을 많이 그리고 그 산에 대한 무한한 애정을 선사해 오고 있다.

 

임채욱의 산 사진은 얼핏 동양화로 재현한 그림을 보는 듯한 착각을 안긴다. 그것은 카메라로 그린 산수화다. 횡(橫)으로 길게 펼쳐진 파노라마 구도 안에 끝없이 이어지고 야트막하게 연결된 한국의 전형적인 산세를 담고 있다. 우에서 좌로, 좌에서 우로 번갈아가며, 반복해서 거니는 시선에 의지해 본다. 가상의 이동과 와유를 보여주는 전형적인 동양화 산수의 구도가 떠오른다. 대부분 안개나 구름에 의해 가려지고 지워진 산의 일부가 어렴풋이 떠오르는 장면이다. 그로인해 산의 윤곽은 내부를 지운 채 강한 실루엣으로 차오르고 정작 산의 안쪽은 안개들이 입김처럼 지우고 있다. 전통적인 동양화에서 여백은, 운무나 안개 자욱한 풍경은 일부분만 보여주기 위한 전략이다. 나머지는 상상하게 한다. 온전히 보여지기 보다는 일부는 가려지고 나머지는 여백, 텅 빈 화면 안에 잠겨있다. 보는 이들은 온전하게, 전일적인 시선으로 그림을 바라볼 수 없다. 많은 것을 보여주기 보다는 적게 보여주고 다 보여주기 보다는 일부분만 보여주는 편이다. 보여주는 것보다 상상하게 하는 것이 그 대상을 좀 더 잘 보게 하는 일이라고 본 것이다. 꿈꾸게 하고 기억하게 하고 회상과 여운 속에서 사물과 대상을 추려내게 하는 것이다. 망막으로 모든 것을 보고자 하는 시(視)욕망을 짐짓 누그려 트리고 망막 이외에 몸이 지닌 다양한 감각기관과 정신적 활력을 통해 상상하고 지각하게 한다. 정신적인 활력을 자극해 실세계를 지각하고 그림 너머의 세계로 몸과 정신을 유인해주는 것이 다름 아닌 산수화였다. 그림을 보는 관자(觀者)의 상상작용이 일어나고 비로소 그림은 머리 속에서 완성된다. 산수화를 보면서 실재하는 자연을 소요하는 체험(정신적 활력)을 맛보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관자를 적극적으로 끌어들이고 동참시키며 그의 상상력과 지각작용을 독려하는 것이 산수화라면 임채욱의 사진 또한 그런 상상하기, 이른바 마음으로 보기를 적극 독려하는 사진이다.


근경에서 후경으로 갈수록 산을 뒤덮은 짙은 청색, 검정색이 혼재된 색채는 서서히 옅어진다. 아니 이 사진 속 산들은 어떤 특정한 색채로 환원되기 어렵다. 이 색채는 작가의 의도에 따라 연출되거나 각색된 것이 아니라 그 순간, 그 장소에서 사실적인 기록에 의해 포착한 것이다. 자연에서 모든 색을 포용하고 있는 먹색 같기도 하고 또는 언어로 형용화하기 어려운 색채가 마구 번진다. 깊고 아득하고 서늘하다. 작가는 카메라의 눈이 보지 못하는 형태/색, 보이지 않는 색을 포착하고자 했단다. 아니 저절로 그런 색이 드러났을 것이다. 그것은 결국 망막에 의해 포착한 것이 아니라 마음이 보고 접한 것이 아닐까? 한국인으로서 생득적으로 체득된 마음이 프레이밍 한 이 산 사진은 결국 한국적인 정서로 짙게 문질러져 있다.


이 산풍경은 이내 사라질 듯 하기도 하고 서서히 살아 오르는 것도 같다. 산은 살아있는 생명체가 되어 부풀어 오른다. 숨 쉬는 대기와 차오르고 흩어지기를 반복하는 기운들이 산을 감싸고 돌아다닌다. 설악산과 덕유산, 지리산이 주종을 이룬다. 이른바 백두대간의 대표적 산들이다. 작가는 그 산들을 수차례 종주하면서 문득 우리 민족적 정서의 뿌리가 산으로부터 시작되었고 한민족의 핏줄이 산의 봉우리와 능선의 굽이굽이마다 뜨겁게 흐르고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고 한다. 따라서 작가는 우리 민족의 정서가 온전히 배어 있는 이 산을 사진이란 매체를 통해 어떻게 찍어낼 수 있을까를 고민한 것이다. 그런데 그 고민의 단초는 이미 전통적인 산수화에 깃들어 있음도 발견했다. 선인들이 그린 산수화 또한 단지 눈에 비치는 경관의 재현이나 중국풍의 산수에 대한 기계적 모방 혹은 유교적 이념에 따른 도상화에 머무는 것만은 아니었다. 단원이나 겸재 같은 이들의 산수화에는 이 한반도의 산에 깃든, 자연풍경에 담긴 우리 민족의 정서와 미의식이 오롯이 담겨 있었던 것이다. 학부시절 동양화를 전공한 작가는 새삼 카메라를 통해 산수화적인 산 사진을 찍고 있고 이를 통해 그 선인의 산수화를 오늘에 환생하는 한편 한국인의 생활터전이자 공간인 그 산으로부터 배태(胚胎)된 정서와 심미감을 인화지의 표면에 호명(呼名)해 내려 하고 있다는 생각이다.


작가는 주로 새벽녘에 촬영했다. 음기와 양기가 팽팽하게 맞물려 천지에 힘의 균형이 자욱한 시간대, 이상한 경계에 서 있는 순간, 바로 그 시간대에 바라본, 잡힌 산을 담았다. 손수 만든 카메라의 화각에 담긴 그 산은 사진이미지와 그림 사이에서 요동친다. 짙은 색조에 잠긴 산 덩어리와 여백처럼 빈 하늘, 그 산 사이로 파고들어 산의 형태를 지우고 뭉개는 운무가 그야말로 그림처럼 펼쳐져 있다. 수묵산수화가 보여주는 맛을 사진으로 재현하고 있다는 느낌도 들지만 한편으로는 기계적인 카메라의 시선으로도 우리 산의 매력을 실감나게 보여줄 수 있다는 시도로 다가온다. 알다시피 동양화에서 중요한 것은 물리적 현상의 재현이 아니라, ‘현상의 경험’이었다. 단순한 물리적 재현이 아닌 정신적 재현이라는 얘기다. 그것은 눈으로써 사물을 관조하는 것이 아니라 이른바 심안으로서 관조하는 것이다. 정신적인 활력을 자극해 실세계를 지각하고 그림 너머의 세계로 몸과 정신을 유인해주는 것이 바로 산수화였다. 임채욱의 사진 또한 그런 맥락에서 살아난다. 얼핏 보면 그의 사진은 그대로 수묵산수화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사진이미지다. 그러나 시원하고 확 트인 퍼스펙티브(perspective)와 여백, 단색조의 색상, 숭고미를 자극하며 펼쳐진 산세, 횡으로 종으로 펼쳐진 화면 등에서 그야말로 실감나는 산수화를 보는 체험을 안긴다. 사진으로 재현한 이 산수화를 통해 우리는 새삼 우리 국토, 산의 정체와 그 공간이 형성해 놓은 심미적 문화의 전통을 헤아려보게 되는 것이다.

 

bottom of page